맨위로가기

버마 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 로드는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의 중국 봉쇄를 우회하기 위해 건설된 1,154km 길이의 도로이다. 쿤밍에서 버마 국경까지 20만 명의 중국인과 버마인 노동자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연합군이 중국에 물자를 수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본의 버마 점령으로 도로가 폐쇄되자, 연합군은 "험프"를 통한 공중 수송에 의존했고, 이후 버마를 탈환하고 레도 로드를 건설하여 버마 로드를 재개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마 전역 - 람리섬 전투
    람리섬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버마 전역의 일부로, 1945년 1월 영국군이 람리섬을 점령하기 위해 일본군과 벌인 전투이며, 마타도르 작전으로 시작되어 연합군의 항공 지원 거점 확보와 일본군의 방어 간 공방전이 벌어졌고, 일본군 철수 과정에서 바다악어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 버마 전역 - 제3비행사단
    제3비행사단은 1940년 8월 1일 제3비행집단에서 개칭된 일본 육군 항공대의 부대로, 태평양 전쟁의 주요 전선에 투입되어 연합군과 전투를 벌이다 1944년 2월 해체되었다.
  • 윈난성의 교통 - 베이판장 대교
    베이판장 대교는 201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16년에 개통되었으며, 2018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교량으로 인정받았다.
  • 윈난성의 교통 - 후쿤 고속철도
    후쿤 고속철도는 상하이에서 쿤밍까지 2,266km를 연결하며, 2004년 계획에 따라 건설되어 2016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최고 영업 속도는 350km/h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 오버로드 작전
    오버로드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유럽 대륙에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실행한 군사 작전으로,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D-Day)으로 시작되었으며, 성공적인 상륙을 위해 연합군은 포인트블랭크 작전, 수송 계획, 5개 상륙 지점 설정, 공수 부대 투입, 기만 작전 등을 통해 독일군의 방어를 뚫고 유럽 해방의 발판을 마련했다.
버마 로드
지도
기본 정보
위치미얀마와 중국의 윈난 성 연결
개통1938년
폐쇄1942년
재개통1945년
대체 경로레도 로드
경로
시작점쿤밍 시
경유지구이양 시
후이저우 구
시추안 성
쑤이푸 현
이빈 시
자오퉁 시
취징 시
다리 시
바오산 시
룽링 시
망시
루이리 시
무세
종점라시오
총 길이1,154 km (717 마일)
역사
건설 배경중일 전쟁 중 일본군의 중국 해안 봉쇄
건설 노동자200,000명 이상 (대부분이 한족)
건설 기간1937년 12월 – 1938년 8월
폐쇄 이유일본군의 버마 전역 점령
재개통 이유연합군의 버마 탈환
중요성
전쟁 지원중국 국민당 정부의 전쟁 물자 수송로
경제적 영향중국 서부 지역 경제 발전 촉진
관련 정보
대체 경로레도 로드
관련 전투버마 전역
명칭
중국어滇緬公路 (Diān Miǎn gōnglù)
영어Burma Road
일본어ビルマ公路 (Biruma Kōro)

2. 역사

여성과 아이들이 수작업 도구로 버마 로드를 건설하고 있다.


이 도로는 약 1153.90km이며 험준한 산악 지대를 통과한다.[2] 1937년 중일 전쟁 동안 쿤밍에서 버마 국경까지의 구간이 건설되었으며, 1938년에 완공되었다.[3][4]

1942년 일본군이 버마를 점령한 후, 연합국장제스국민혁명군에 대한 보급을 험프(The Hump영어) 공수 작전에 의존하게 되었다. 보급 물자는 영국령 인도 제국의 아삼 주 비행장에서 히말라야 산맥의 동쪽 끝을 넘어 공수되었다. 미국 측의 주장과 윈스턴 처칠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대일전의 주요 목표로 버마 탈환과 중국과의 육로 개통이라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영국군 지휘 하(후반에는 조지프 스틸웰이 지휘)에, 인도, 영국, 중국, 미국군은 아삼으로 진공하는 일본군을 격파하고 북부 버마를 탈환했다.

2. 1. 건설 배경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은 중국 해안을 봉쇄하기 시작했다.[3][4] 이에 따라 중국은 외부로부터 물자를 지원받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만 명의 버마인과 중국인 노동자들이 동원되어 쿤밍에서 버마 국경까지의 구간이 건설되었고, 1938년에 완공되었다.[3][4] 이 건설 프로젝트는 천즈핑이 이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연합군은 버마 로드를 통해 중국에 물자를 수송했다. 특히 중국이 남녕 전투에서 패배하여 해상 접근로를 상실한 이후에는 버마 로드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3]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발한 물자는 양곤에 도착하여 철도를 통해 라시오로 운송된 후, 버마 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들어갔다.[3]

2. 2. 건설 과정

1937년 중일 전쟁 동안, 20만 명의 버마인과 중국인 노동자들이 동원되어 쿤밍에서 버마 국경까지의 구간을 건설했다. 이 도로는 일본의 중국 봉쇄를 우회하기 위해 1938년에 완공되었다.[3][4] 이 건설 프로젝트는 천즈핑이 조정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연합군은 버마 로드를 통해 중국에 물자를 수송했다. 특히 중국이 난닝 전투에서 난닝을 잃고 해상 접근을 상실한 이후 더욱 중요해졌다.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발한 물자는 양곤에 도착하여 철도로 라시오까지 운송된 후, 버마 로드를 통해 완딩 다리를 건너 중국으로 들어갔다. 중국 구간은 약 800km(500마일)의 윈난성 시골 지형을 지나 쿤밍에서 끝났다.[3]

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연합군은 버마 로드를 통해 중국을 지원하기 위한 물자를 수송했다. 특히 중국이 남녕 전투에서 난닝을 잃고 해상 접근을 상실한 이후 버마 로드는 중요한 보급로가 되었다.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발한 물자는 양곤에 도착하여 철도를 통해 라시오까지 운송되었고, 라시오에서 버마 로드를 통해 완딩 다리를 건너 중국으로 들어갔다. 중국 구간은 윈난성의 시골 지형을 약 500마일 정도 지나 쿤밍에서 끝났다.[3]

1940년 7월, 영국은 일본의 압력으로 버마 로드를 3개월 동안 폐쇄하기도 했다.[5] 1942년 일본이 버마를 점령하면서 버마 로드가 차단되자, 연합군은 인도로부터 "험프"를 넘어 공중 수송으로 중국을 지원해야 했다. 이는 초기에는 매우 위험하고 부족한 수송량으로 인해, 미국 육군 장군 조지프 스틸웰은 버마 로드를 다시 개통하는 데 집중하게 되었다.[3]

1944년 말, 연합군은 버마 전역에서 북부 버마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아삼주 레도에서 윈난성 완딩에 있는 옛 버마 로드와 연결되는 레도 로드를 건설할 수 있었다. 1945년 1월 28일, 첫 번째 트럭이 이 경로를 통해 중국 국경에 도달했으며,[6] 2월 4일에는 첫 번째 수송대가 쿤밍에 도착했다.[7]

3. 버마 로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버마 컨보이(Burma Convoy) (1941)
  • 버마 로드의 미국인(A Yank on the Burma Road) (1942)
  • 버마 상공의 폭탄(Bombs over Burma) (1942)
  • 목표, 버마!(Objective, Burma!) (1945)


프랭크 카프라의 선전 영화 시리즈인 우리가 싸우는 이유(Why We Fight)의 여섯 번째 영화인 중국의 전투(The Battle of China) (1944)에도 이 도로의 건설이 등장한다.[8]

참조

[1] 문서 Voy: Burma Road
[2] 웹사이트 Burma Road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010-05-04
[3] 서적 China 1945 : Mao's revolution and America's fateful choice Alfred A. Knopf 2014
[4] 문서 Burma Surgeon W. W. Norton & Company 1943
[5] 서적 Our Time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20th Century 1995-10
[6] 서적 The Second World War
[7] 서적 Time Runs Out in CBI https://www.histor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2024-11-28
[8] 서적 The World War II desk reference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2010-11-01
[9] 웹사이트 Burma Road @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http://ngm.nationalg[...] 2016-09-07
[10] 웹사이트 Burma Road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11] 서적 The Second World W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